생활정보

경매 용어 총정리 1탄,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알아보기

1분전... 2025. 3. 14. 23:00

경매에 관심이 있지만 어려운 용어 때문에 고민이라면?

경매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용어를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경매 초보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볼게요 차근차근 읽어보세요!

경매용어
경매 기본 용어 알아보기

 

1. 경매란 무엇인가?

경매는 법원이나 공공기관에서 부동산, 동산 등을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절차입니다. 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할 경우, 채권자가 법적 절차를 통해 담보물이나 재산을 매각하여 돈을 회수하는 방식입니다.

경매는 크게 임의경매강제경매로 나뉩니다.

 

 

2. 경매의 종류

1) 임의경매

  • 처음부터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렸는데, 이를 갚지 못할 경우 담보권을 실행하여 경매로 넘기는 것
  • 근저당을 설정한 채권자(은행, 금융기관 등)가 담보권을 실행하여 경매를 신청
  • 가장 일반적인 경매 유형

근저당이란?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릴 때, 빌린 금액보다 **최대 120%**까지 담보로 설정하는 저당권. 이는 채무 불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이자, 지연손해금 등)을 포함하여 보전하기 위한 것.

2) 강제경매

  • 채권자가 법원 판결을 받아 채무자의 부동산을 강제로 경매에 넘기는 경우
  •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아도 집이 있는 경우, 법원이 부동산을 압류하고 매각하여 채권자에게 변제
  • 채권자 vs 채무자 간의 소송 결과에 따라 진행

💡 임의경매 vs 강제경매, 중요한 차이점은? 경매 입찰자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절차상의 차이가 있으므로 뜻은 알고 있으면 좋음.

 

 

3. 경매 관련 주요 용어

1) 사건번호

  • 예: 2019 타경 2064
    • 2019년도에 접수된 경매 사건
    • "타경": 경매 사건을 의미
    • 2064: 해당 사건의 일련번호
  • 경매 사건번호를 말할 때는 반드시 어느 법원인지 함께 확인해야 함 (같은 번호의 사건이 여러 법원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

2) 물건번호

  • 같은 사건번호 아래 여러 개의 부동산이 포함될 경우 물건별로 부여되는 번호
  • 예를 들어, 한 빌라 전체가 경매에 나왔으나 개별적으로 매각하는 경우
    • 101호 - 1번
    • 102호 - 2번
    • 110호 - 3번
    이렇게 물건 번호가 뒤에 붙는다
  • 입찰 시 물건번호를 잘못 기재하면 무효 처리되므로 주의해야 함